트럼프, 캐나다에 ‘50% 관세’로 맞불..보복은 보복으로
2025-03-12 15:22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캐나다는 미국 유제품에 대해 250%에서 390%까지의 반미 농산물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이 관세는 오랫동안 터무니없다고 여겨져 왔으며, 즉각 철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기로 위협받는 지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이라며 "이러한 위협을 완화하기 위한 신속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또한 캐나다가 다른 오랫동안 지속된 부당한 관세를 철폐하지 않으면, 4월 2일에 예정된 상호 관세 발표일에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그는 "이 관세는 사실상 캐나다의 자동차 산업을 중단시킬 수 있으며, 미국에서 자동차를 쉽게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의 관계에서 군사적 및 경제적 의존을 지적하며, "캐나다는 미국의 군사 보호에 의존하고 있으며, 미국은 매년 2,000억 달러 이상을 캐나다에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상황은 지속될 수 없으며,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캐나다를 미국에 편입시키자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세가 사라지고, 캐나다인의 세금도 감소하며, 군사적으로 더 안전해지고, 북부 국경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를 '관세 남용국'으로 지목하면서, 더그 포드 캐나다 온타리오주 주지사가 미국으로 송전되는 전기에 대해 25% 추가 요금을 부과한다고 밝힌 것에 대해 강력히 반응했다. 온타리오주는 일부 미국 지역에 전기를 수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 수급이 조정되고 있다. 트럼프는 미국의 전력 생산이 충분하지만, 국경 인근 일부 지역에서 캐나다 전력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발표는 캐나다와 미국 간의 관세 전쟁을 더욱 격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와 미국은 오랫동안 무역과 경제적 상호 의존 관계를 이어오고 있었지만, 최근 몇 년간의 무역 갈등은 두 국가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특히 철강 및 알루미늄과 같은 주요 산업 품목에 대한 관세가 추가됨에 따라, 양국의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세 전쟁의 격화로 뉴욕 증시는 이날 급락하며 시장의 불안감이 더욱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 미국 경제와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이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무역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양국의 경제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는 캐나다를 51번째 주로 편입시킬 수 있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이는 단지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군사적, 정치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했다. 트럼프의 이러한 발언은 그가 선호하는 '미국 우선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캐나다와의 관계에 큰 변화를 예고할 수 있다.
캐나다와 미국의 무역 관계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긴장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양국은 서로의 관세 정책을 두고 치열한 논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기사 전윤우 기자 jeonyoonwoo@lifeand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