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카페, '중국인 출입 금지' 선언…K-인종차별 논란 전 세계 확산
2025-10-28 09:06

논란은 국내를 넘어 해외로까지 번졌다.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 등에서도 이 소식이 공유되며 대다수의 해외 이용자들은 "글로벌 관광 망신", "이런 행태는 미국이나 유럽에서 즉각 제재 대상"이라며 한국 사회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물론 "중국인 손님들로 인해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다"는 옹호론도 일부 있었으나, 전반적인 여론은 압도적으로 부정적이었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이러한 혐오 정서가 온라인을 통해 조직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 X(옛 트위터)에는 'No Chinese Zone 행동지침'이라는 게시물이 등장했다. 이 지침은 중국인이 있는 가게를 피하고, '노 차이니즈 존'을 실천하는 가게를 온라인에 공유하며 지지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어, 온라인상의 혐오가 오프라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숙명여대 법학과 홍성수 교수는 이번 사안을 단순한 개별 가게의 문제로 치부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잠재되어 있던 혐중 정서가 정치적 목적과 결부되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고, 정치권의 묵인과 동조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특히 "개별 가게의 출입 제한을 용인하는 것은 사회 전체가 차별을 허용하는 위험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는 사회적 차별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적했다. 홍 교수는 "노키즈존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면서 저연령층에서 고연령층, 나아가 국적과 인종에 이르기까지 차별이 확장되는 양상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논란이 "한국 사회 전반의 차별과 혐오가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는지를 묻는 경고"라며, 커지는 혐오의 흐름에 대한 적극적인 정치·사회적 개입과 자정 노력이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기사 최유찬 기자 yoochan2@lifeand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