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364만원은 꿈도 못 꿔…'월 800만원' 벌어야 N수 시키는 나라
2025-10-23 18:04
 대학 입시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재도전을 선택한 N수생 10명 중 7명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도 목표했던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는 씁쓸한 현실에 직면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N수생 사교육비 조사 모델 개발’ 정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4학년도 대입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N수생 중 무려 68.1%가 여전히 희망 대학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는 충북대 연구진이 지난해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N수생 1753명을 대상으로 심층 조사한 결과로, N수를 선택하는 것이 성공을 보장하는 길이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
 대학 입시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재도전을 선택한 N수생 10명 중 7명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도 목표했던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는 씁쓸한 현실에 직면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N수생 사교육비 조사 모델 개발’ 정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4학년도 대입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N수생 중 무려 68.1%가 여전히 희망 대학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는 충북대 연구진이 지난해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N수생 1753명을 대상으로 심층 조사한 결과로, N수를 선택하는 것이 성공을 보장하는 길이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이들이 N수라는 힘든 길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희망 대학에 합격하지 못해서’(40.3%)였다. 근소한 차이로 ‘합격한 대학이 만족스럽지 않아서’(32.5%)가 뒤를 이었고, ‘희망 학과에 합격하지 못해서’(9.9%)라는 응답도 상당수 존재했다. 더 큰 문제는 N수를 거치고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한 학생들이 다시 입시 시장에 뛰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조사에 응한 2024학년도 신입생 중 23.4%, 즉 4명 중 1명꼴로 2025학년도 대입을 또다시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것이다. 이러한 재도전 경향은 자연계열(29.4%)과 공학계열(25.3%)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미 높은 입결을 자랑하는 의약학계열은 12.3%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결국 N수생의 증가는 단순히 입시 경쟁 과열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교육 기회의 불평등과 사회적 양극화 문제와도 깊숙이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를 공개한 김문수 의원은 “N수생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지만, 그 현황이나 사교육 실태 파악은 사실상 부재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N수생 증가 현상을 우리 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정책적으로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 일회성 조사가 아닌 꾸준하고 체계적인 실태 조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최유찬 기자 yoochan2@lifeand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