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멸의 칼날' 다음은 '체인소 맨'…日 서브컬처, 주류 시장 완벽 장악

2025-10-14 17:53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국내 대작들을 연이어 제치고 박스오피스 정상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개봉 첫 주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없다'와 추석 연휴 기대작이었던 '보스'에 밀려 3위까지 순위가 하락했으나, 작품을 본 관객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입소문이 퍼지며 N차 관람 열풍을 일으켰다. 이러한 역주행 흥행에 힘입어 개봉 3주 차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으며, 12일까지 누적 관객 183만 명을 동원하며 장기 흥행 체제에 돌입했다. 이는 500만 관객을 돌파한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흥행 계보를 이으며, 일본 애니메이션의 막강한 저력을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로 기록됐다.

 

영화의 폭발적인 인기는 스크린을 넘어 음원 차트까지 점령했다. J팝 스타 요네즈 켄시가 부른 주제가 '아이리스 아웃(IRIS OUT)'은 국내 최대 음원 플랫폼 멜론 '톱 100' 차트에서 4위까지 오르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뒀다. 이는 2022년 이마세의 '나이트 댄서'가 세운 J팝 최고 기록(17위)을 가뿐히 경신한 것으로, 막강한 팬덤을 지닌 K팝 아이돌 그룹들 사이에서 거둔 성과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는다. 또한, 유튜브 뮤직 한국 인기곡 '톱 100' 차트에서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곡들을 모두 제치고 1위를 차지하며, '체인소 맨'과 주제가를 향한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증명했다.

 


'아이리스 아웃'의 성공은 완성도 높은 곡 자체의 매력과 아티스트의 높은 인지도가 시너지를 낸 결과로 분석된다. '레몬'으로 국내에도 두터운 팬층을 보유한 요네즈 켄시는 이번 곡에서 힙합, 록, 팝 등 다양한 장르를 2분 30초라는 짧은 시간 안에 녹여냈으며, 극 중 인물 '레제'의 목소리 '붐(BOOM)'을 효과적으로 삽입해 원작 팬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특히 미야자키 하야오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등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OST에 참여하며 쌓아온 그의 음악적 역량이 이번 '체인소 맨'을 통해 다시 한번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체인소 맨' 신드롬은 단순히 한 작품의 흥행을 넘어, 일본 대중문화가 더 이상 소수의 하위문화가 아닌 주류 문화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임희윤 대중음악평론가는 '아이리스 아웃'의 인기 요인으로 "귀에 쏙쏙 박히는 다이내믹한 멜로디 전개가 도파민을 샘솟게 한다"고 분석하며, "애니메이션과 J팝이 서브컬처에서 주류 가까이로 올라섰다"고 진단했다. 한때 특정 마니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일본 애니메이션과 J팝이 이제는 영화관과 음원 차트의 판도를 뒤흔드는 핵심 콘텐츠로 부상한 것이다.

 

기사 오진우 기자 ohwoo65@lifeand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