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천만원 꿈꿨는데..." 캄보디아行, 한국인 죽음으로 이끈 잔혹한 유혹
2025-10-13 15:01
지난 7월, 경북 예천 출신 박모(22)씨는 캄보디아로 출국한 지 22일 만인 8월 8일 캄보디아 캄폿주 보코산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부검 결과 사인은 '고문과 극심한 통증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밝혀져 충격을 안겼다. 박씨와 함께 감금되었다가 구조된 A씨는 "박씨가 너무 많이 맞아 걷지 못하고 숨을 못 쉴 정도였다"며, "보코산 근처 병원으로 가는 길에 차 안에서 사망했다고 들었다"고 증언했다. A씨는 박씨가 다른 곳에서 강제로 마약 운반에 동원된 후 자신이 감금된 조직에 팔려 왔다는 현지 인신매매 의혹까지 제기했다.
캄보디아 캄폿지방검찰청은 박씨에 대한 살인 및 사기 혐의로 중국인 3명을 구속기소했으며, 한국 경북경찰청은 박씨에게 접근해 캄보디아 출국을 유도한 한국인 대포통장 모집책 1명을 구속 송치하고 상선 조직과 배후 세력을 추적 중이다. 특히, 박씨 살해에 가담했으나 아직 검거되지 않은 중국인 용의자 한 명이 2년 전 발생한 '강남 학원가 마약 음료 사건'에 연루됐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경찰이 관련 제보를 확인 중이다. 이 외에도 월 1000만원 이상 고수익 일자리를 미끼로 캄보디아에 갔다가 한 달간 불법 감금·폭행을 당한 뒤 탈출한 20대 청년 사건, 프놈펜 여행 중 연락이 끊긴 뒤 혼수상태로 발견된 40대 직장인 사건 등 유사한 사례들이 잇따르고 있다.
캄보디아가 범죄 도시로 변모한 배경에는 중국, 베트남 등 주변국의 강력한 단속으로 인해 범죄 조직들이 경찰 내부 부패로 감시가 취약한 캄보디아로 대거 유입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현지 범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캄보디아에 파견된 경찰 인력은 대사관 소속 3명에 불과하여 범죄 대응에 심각한 한계가 있다. 국제범죄 수사에 정통한 한 경찰 관계자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범죄 조직들이 명의 도용보다 직접 명의자를 본거지로 데려와 감금, 관리하는 방식으로 수법이 진화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캄보디아를 방문하는 한국인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기사 최유찬 기자 yoochan2@lifeand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