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황금연휴, 호텔 예약 폭주..'도쿄·제주'로 몰려

2025-04-25 17:22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국내외 여행 시장이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이번 연휴는 최대 6일까지 이어지면서,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여행객의 5명 중 1명은 도쿄 또는 제주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짧고 확실한 만족’을 추구하는 새로운 여행 트렌드를 반영하며, 단기 효율 여행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린 것을 보여준다.

 

국내외 여행 예약 플랫폼 ‘트립비토즈’의 분석에 따르면, 5월 해외 여행지 예약 1위는 일본 도쿄로, 전체 예약의 19.7%를 차지했다. 또한 오사카와 후쿠오카가 각각 2위와 3위에 올라, 일본이 해외 여행지로서의 인기를 독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이 인기 있는 이유는 비자 면제 혜택과 짧은 비행 시간, 다양한 쇼핑과 음식 콘텐츠 덕분이다. 특히 도쿄는 지하철로 연결된 도심 관광의 효율성 덕분에 짧은 연휴에 최적의 여행지로 손꼽히고 있다.

 

한편, 국내 여행 예약 1위는 제주도로 나타났으며, 제주도는 전체 예약의 20.2%를 차지했다. 강원도(18.0%)와 부산(14.1%) 등이 뒤를 이었다. 제주도는 바다와 산, 도심의 매력을 모두 갖춘 여행지로, 다양한 테마 여행에 대한 수요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단기 여행지로서 일본 도쿄와 제주도가 주요한 선택지로 떠오른 가운데, 여행객들은 짧은 기간 동안의 여행을 효율적으로 즐기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여행 예약 플랫폼인 ‘트립닷컴’은 이번 황금연휴 기간 동안 국내 여행 수요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9% 증가했으며, 호텔 예약은 354% 급증했다고 밝혔다. 특히 제주도는 2년 연속 예약 1위를 차지했으며, 춘천과 강릉, 여수, 수원 등 덜 주목받던 도시들도 이번 연휴에 외국인 예약이 증가하며 지역 분산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지역으로의 여행 수요가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다.

 

또한, 여행 트렌드에서 ‘짧고 강한 일정’이 새 기준으로 자리잡았다. 근로자의 날(5월 1일), 어린이날과 겹친 부처님오신날(5월 5일) 사이에 대체공휴일과 개별 휴가를 조합하면 최장 6일간의 연휴가 가능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2박 3일 또는 3박 4일 구성의 여행을 선호하고 있다. 이는 짧지만 밀도 높은 여행 일정을 선호하는 흐름을 반영하며, 도쿄와 제주 같은 검증된 여행지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영상 리뷰 기반 예약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실사용자 후기와 짧은 영상들이 여행 예약 전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국내 여행의 경우, 외국인 관광 수요가 점차 수도권을 넘어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서울과 부산은 여전히 외국인 숙소 예약 1·2위를 지켰지만, 고양, 여수, 경주, 수원 등 새로운 도시들이 10위권에 진입하며 지역 분산 현상이 두드러졌다. 트립닷컴은 이를 ‘국내 열차 예약 기능의 활용 증가’로 분석하며, 서울-부산, 서울-강릉, 서울-신경주 등의 노선이 많이 이용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해외 여행객들의 소비 패턴에도 변화가 감지되었다. 서울과 부산 등지에서 K-공연과 관련된 콘텐츠가 인기를 끌며, ‘보고 지나치는 관광’에서 ‘머무르고 체험하는 문화 향유형 여행’으로 변화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축제 형태의 공연형 콘텐츠가 인기를 끌었고, 부산에서는 체험형 관광 상품들이 주목받았다. 이는 여행의 목적과 방식이 더욱 다층적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5월 황금연휴는 단순한 연휴가 아니라, 여행 산업 전반에 지각변동을 예고하는 시험대가 되었다. 짧은 일정에 최적화된 콘텐츠, 다변화된 지역 분산 여정, 영상 기반 직관적 큐레이션 등이 여행의 새로운 경쟁 구도를 만들어가고 있다. 여행 플랫폼은 단순한 가격 비교를 넘어, 빠르고 정확하게 여행의 핵심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야 하는 시점에 접어들었다. 트립닷컴 관계자는 "5월 황금연휴는 한국뿐 아니라 일본과 중국의 연휴와도 겹쳐, 국내외 여행객 모두에게 한국이 매력적인 목적지로 떠오르고 있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지역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여행자의 경험과 지역 기회를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기사 안지원 기자 ahnjjiiwon@lifeand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