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41% 독주..'홍·김·한·안' 누가 와도 밀린다
2025-04-24 16:53
이재명 후보에 이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홍준표 후보가 각각 10%를 기록했고, 한동훈 후보는 8%, 안철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각각 3%였다. 특히 김문수와 홍준표 후보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지지율을 보였으나 각각 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동훈 후보 역시 2%포인트 오른 지지율을 기록했다. 반면, 적합한 후보가 없다는 응답과 모름·무응답을 합한 비율은 18%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민주당이 38%, 국민의힘이 35%로 나타났으며, 이는 오차범위 내 접전이다. 민주당 지지도는 지난주보다 1%포인트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5%포인트 상승해 주목된다. 민주당 지지층(n=385) 중 이재명 후보가 적합하다는 응답은 87%로 절대적인 지지를 얻고 있으며, 국민의힘 지지층(n=347)에서는 김문수(28%), 홍준표(24%), 한동훈(21%) 후보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50%로, ‘정권 재창출’ 응답 39%보다 11%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전주에 비해 정권 교체 응답은 4%포인트 줄었고, 재창출 응답은 6%포인트 늘어 격차가 좁혀지는 흐름을 보였다. 또한 적극적으로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82%에 달했으며, 가능하면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12%, 투표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5%였다.
가상 3자 대결 구도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했다. 이재명-김문수-이준석 구도에서는 각각 46%-25%-9%의 지지율이 나왔고, 이재명-홍준표-이준석(45%-26%-9%), 이재명-한동훈-이준석(45%-21%-8%), 이재명-안철수-이준석(45%-17%-8%) 구도 모두에서 이 후보는 상대를 큰 격차로 앞섰다. 이 같은 양상은 지난주 조사와 큰 차이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민주당 경선에서 이 후보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는 분위기를 반영한다.
한편, 국민의힘 경선 후보 간 경쟁은 여전히 혼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안철수 후보 중 누가 가장 적합한 후보인지 묻는 조사에서 홍준표 후보가 14%로 가장 높았고, 한동훈(13%), 김문수(11%), 안철수(8%) 순이었다. 다만, 응답자의 49%가 특정 후보를 선택하지 않아 여전히 태도 유보층이 절반에 달하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는 김문수(28%), 홍준표(26%), 한동훈(22%), 안철수(3%)로 응답이 고르게 분산돼 있다.
이 같은 접전 양상 속에서 홍준표와 한동훈 후보는 기존 입장을 바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가능성을 언급해 주목을 끌었다. 홍 후보는 페이스북을 통해 “한 권한대행이 출마한다면 제가 후보가 되더라도 반이재명 단일화 협상에 열려 있다”고 밝혔고, 한동훈 후보도 “경선 압승 후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사람과 함께할 것”이라며 단일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덕수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설이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가운데, 국민의힘 내 친윤석열 진영의 ‘한덕수 차출론’에 대해 일부 후보들이 유연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현재까지 뚜렷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야권의 복잡한 내부 구도를 반영한 행보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0.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고지우 기자 gogojiwoo@lifeandtoday.com